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여가생활

국제 결혼 신고 절차 (한국인 남자, 필리핀 여자)

by All Review and Life Upgrade 2025. 9. 29.

 

한국인 남성(한국 국적)

필리핀 여성(필리핀 국적) 

결혼 할 때 , 필리핀 여성의 귀화 방법에 대해서 글을 남긴다. 

 

 

 

여러가지 옵션이 있겠지만

가장 일반적인 옵션을 선택해서 설명해 주겠다. 

 

나도 여기저기 많이 알아 봤다.

가장 간편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한 방법이다. 

 

전체 과정

절차1 ; 필리핀 대사관에 가서 LCCM을 신청한다.

절차2 : LCCM 확인증을 갖고 용산구청에 가서 혼인 신고한다.

절차3 : (동사무소) 혼인 확인증을 갖고 ,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한국 대사관에 신청

절차4 : (혼인비자를 받은 후) 배우자 비자로 입국하면 F6 임시 비자를 받는다

절차5 : 한국 법무부에 가서 , 최종적으로 배우자 비자를 받으면 OK.

 

 

먼저 필리핀 대사관에 가자

남산 아래에 , 하얏트 호텔 아래에 있다. 

 

 

 

 

절차1 ; 필리핀 대사관에 가서 LCCM을 신청한다.

필리핀 한국 대사관 주소 : 서울 용산구 회나무로 80 필리핀대사관

 

한국인 남성 준비물

- Passport 

-혼인관계증명서 : 번역 및 공증 원본을 제출

 

필리핀 여성 준비물

- Passport 

- PSA CENOMAR (한국말로 혼인 관계증명서) / 아포스티유 승인 후 제출

- PSA Birth Certificate(한국말로 출생 신고서) → 아포스티유 승인 후 제출

 

접수비용

-현금만 받으며 계좌이체 가능하다

-비용은112,500원이 든다. 

 

확인증

-4일이 소요된다. 

 

 

좌측 상단에 링이 있다. 

아마도 필리핀 특성상 원본을 강조하기 위해서

있는 듯 싶다. 

 

 

아포스티유는 뭐냐?

국제적으로 인증을 받았고 , 효력이 있음을 확인해 주는 것인데

한국에서는 법무사에서 해준다. 

 

 

근데  , 이 과정이 귀찮을 때는 

필리핀 대사관 건물 바로 아래에

필리핀 관련된 귀찮은 서류를 대신해 준다. 

 

 

 

 

 

 

 

 

 

 

절차2 : LCCM 확인증을 갖고 용산구청에 가서 혼인 신고한다.

상기 행정사 사무실에 가서 , 영어->한글 및 공증을 요청하면

바로 해준다. 

 

그리고 바로 용산구청에 가면 된다. 

다른 곳으로 가면 , 모든 문서를 번역&공증을 해 주는데

오로지 용산구청은 LCCM만 번역&공증만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