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정가를 뜨겁게 달구던 ‘윤석열 신당설’에 급제동이 걸렸다. 지난 4월 초,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인물로 알려진 김계리 전 청와대 비서관이 신당 참여 가능성에 대해 일축하며 관련 구상을 ‘취소 선언’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다.
정치권 일각에서 김 전 비서관은 윤 대통령의 신당 구상에서 실무적 주도자로 여겨졌고, 실질적 창당 기획 단계에 관여하고 있다는 설이 돌았지만, 그가 직접 나서 ‘계획 없다’, ‘신당은 시기상조’라는 메시지를 공개하며 분위기가 급속히 가라앉고 있다.
김계리 “신당, 논의된 바 없다”… 발언 수위에 정치권 촉각
김계리 전 비서관은 지난 5일, 기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윤석열 신당설과 관련된 질문을 받자 “그런 논의는 (윤 대통령 측에서도) 확인한 바 없고, 제가 맡은 일도 아니다”라며 신당 관련 보도 일체를 부인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 내부 문제는 당이 풀어야 할 일이지, 대통령이 당에 직접 개입해 창당을 기획할 위치는 아니다”라며, 윤석열 대통령 역시 “정당 창당을 염두에 둔 바 없다고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사실상 신당 추진의 축이 될 것으로 예상되던 김 전 비서관이 직전까지의 분위기를 스스로 뒤집은 것으로 해석된다. 정치권 내 윤심(尹心)을 읽으려는 시선이 그에게 집중됐던 만큼, 그의 입장은 곧 윤 대통령의 진심이 반영된 메시지로 간주되고 있다.
"신당 동력 상실" 분석… 내부 분열로 이어질 수도
김계리의 공식적인 발언 이후, 여권 내부에서는 신당 창당 동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신당 추진을 둘러싼 소수 친윤계 의원들이 주도 세력 없이 공중 분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은 “김계리 정도 위치의 인사가 나서서 선을 그었다는 건, 윤 대통령 본인도 현실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뜻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칫 섣부른 창당 시도는 대통령의 리더십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당을 통해 재정비된 보수 재편을 기대했던 정치권 외부 인사들은 일부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인사들이 창당 메시지를 정리하지 못한 채,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론도 부정적… “정권의 책임 회피” 비판도 제기돼
여론 역시 신당에 대해 점점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 중반이라는 점에서, 신당 창당은 정권의 책임 회피로 비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정치리서치가 4월 초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힘 외 새로운 정치세력을 만들 경우 지지하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찬성 26.3%, 반대 58.1%로 나타났다.
가장 큰 반대 이유는 ‘대통령으로서 본연의 책임을 외면한다는 인식’이었으며, 두 번째는 ‘정치적 분열을 초래할 우려’였다.
정치평론가 강민규 박사는 “신당 창당은 차기 총선의 주도권을 노리는 정치적 카드일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대통령이 주도하는 것은 국민적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며 “김계리의 발언은 그런 민심을 의식한 후퇴성 메시지로 읽힌다”고 해석했다.
정치적 노림수일까, 전략적 후퇴일까
일각에서는 김계리의 발언이 실제 ‘창당 포기’가 아닌 전략적 시간 벌기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신당 추진에 대한 부정적 여론과 총선을 둘러싼 정치적 계산을 고려해, 공식 창당 일정이나 메시지를 숨기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내년 총선이 다가올수록 공천권 갈등이 커질 것이고, 그때 윤 대통령 측근 인사들이 탈당 후 신당 창당에 나설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지금은 국정 지지율 방어에 집중하는 시기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치권의 다수 시선은 여전히 신당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대통령이 집권 중 직접 창당에 나서는 전례 자체가 드물고, 국민적 명분도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김계리 같은 핵심 인물이 한 발 물러선 지금, 신당의 실제 추진 가능성은 사실상 0에 수렴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결론: ‘윤석열 신당’은 다시 물속으로… 현실정치와 여론의 벽에 가로막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신당설은 한때 여의도를 뒤흔든 정계 개편의 신호탄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김계리 전 비서관의 취소 선언은 이러한 흐름에 급제동을 걸었고, 이는 곧 정치적 주도력 약화의 상징적 장면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 여권 내부는 재정비 국면에 들어섰으며, 윤 대통령 역시 신중 모드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신당의 가능성은 일단 ‘전략적 보류’ 혹은 ‘사실상 백지화’에 가깝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치의 계절은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윤석열 신당이라는 깃발은 더 이상 바람을 타지 못하고 있다.
'즐거운 여가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들이 말할 때까지] 매불쇼 전찬일 추천작 - 영화 줄거리, 스포일러, 주연, 결말, 다큐멘터 (0) | 2025.04.19 |
---|---|
[야구]이정후 MLB 시즌 3호 홈런 터졌다. (0) | 2025.04.12 |
[로스 케어 Lost Care] 매불쇼 최광이 추천작 , 줄거리 , 평점, 주연, 스포일 (0) | 2025.04.12 |
[논픽션 다이어리] 매불쇼 시네마지옥 - 칸찬일 소개 , 줄거리, 주인공 , 스포일러 (0) | 2025.04.12 |
[k-희망사다리]-개인·소상공인을 위한 채무조정제도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