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덕수 권한대행] 4.19 혁명 기념식 참석 관련 기사 요약

by All Review and Life Upgrade 2025. 4. 19.

한덕수 총리 권한대행, 4·19 혁명 기념식 참석… “민주주의의 뿌리 다시 새겨야”

2025년 4월 19일, 서울 수유동 국립 4·19 민주묘지.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은 이날 열린 제65주년 4·19 혁명 기념식에 정부 대표로 참석해, “자유와 정의를 위해 싸웠던 그날의 함성을 오늘의 민주주의로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념식은 오전 10시부터 진행됐으며, 한덕수 권한대행을 포함해 유족, 생존 유공자, 시민 대표, 학생, 정부 인사 등 3,000여 명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불참했고, 대신 한덕수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자격으로 헌화와 분향을 주도하며 정부의 추모 의지를 전했다.

“민주주의는 시민의 피 위에 세워진 제도… 결코 잊어선 안 돼”

한 권한대행은 추도사에서 “1960년 4월, 자유를 향한 시민의 외침은 부정과 불의에 맞선 정의의 기념비로 남았다”며 “4·19 정신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토대이자 살아 있는 역사”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4·19 혁명은 세계사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시민 주도의 민주 항쟁이었다”며 “특정 이념이나 계층이 아닌, 학생과 시민 모두가 함께 만든 대한민국 최초의 대중적 민주의식의 발현”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4·19 유공자 103명의 정부 포상이 이루어졌으며, 그중 고(故) 김정수 열사는 1960년 당시 고등학생으로 시위 도중 총탄에 희생된 사례로, 정부가 직접 유족에게 공훈패를 전달하는 장면에서 많은 참석자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윤 대통령 불참에 정치권 반응 엇갈려… 대행 참석 의미는?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일정상 불가피한 사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부 야당에서는 “역사적 행사에 대통령이 불참하는 것은 국민 통합의 정신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권한대행의 참석은 정치적 공백을 메우는 상징적 행보로 해석된다. 총리 권한대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대통령의 메시지를 대신 전하고 기념행사의 의미를 지키는 동시에 정무적 균형도 고려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행정안전부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지 못한 것은 아쉽지만, 국무총리가 대신 참석해 정부의 변함없는 추모 의지를 전달했다”며 “이런 의전은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했다.

미래세대와 함께한 기념식…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확대

올해 4·19 혁명 기념식의 특징 중 하나는 청소년과 대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였다. 정부는 사전에 전국 고등학생·대학생 200여 명을 초청해 4·19 묘역을 참배하고, 민주주의 교육 세션도 함께 진행하였다.

기념식 중에는 고등학생 대표가 헌시를 낭송하며 “오늘의 자유는 누군가의 희생 위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했고, 유족 대표 역시 “세대는 달라졌지만, 민주주의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행사장에는 ‘민주주의 기둥 다시 세우기’라는 상징 조형물이 설치돼 많은 시민들이 그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기념식이 끝난 뒤에는 자원봉사자들과 시민들이 함께 묘역 청소 활동을 벌이며 자발적인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결론: 4·19 혁명은 끝나지 않은 역사… 정부의 기억은 계속돼야

한덕수 총리 권한대행의 4·19 혁명 기념식 참석은 단순한 의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는 이날 국민 앞에서 민주주의를 향한 의지와 희생을 다시금 상기시키며, 정부의 역사 인식이 과거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민주주의는 기록으로 남아야 할 뿐 아니라, 삶의 현장에서 계속 증명되어야 하는 가치이다. 정부와 시민, 그리고 미래세대가 함께 4·19 정신을 이어가는 일은 지금 이 순간에도 중요하다. 한덕수 권한대행의 행보는 그 정신의 ‘현재형’ 실천이라 할 수 있다.

 

🎥 관련 유튜브 영상 링크